제6사단 (육상자위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6사단은 일본 육상자위대의 사단으로, 1962년 경찰예비대의 육상자위대 개편에 따라 창설되었다. 현재는 기동사단으로 개편되어, 제20보통과연대, 제22즉응기동연대, 제44보통과연대 등을 예하 부대로 두고 있다. 사단 사령부는 야마가타현 히가시네시의 진마치 주둔지에 위치하며, 미야기현, 후쿠시마현 등지에 주둔지를 두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육상자위대의 보병사단 - 제10사단 (육상자위대)
제10사단은 아이치현 나고야시에 사령부를 둔 육상자위대 사단으로, 중부 지역의 방위, 재해 지원, 국제 평화 유지 활동을 수행하며, 1959년 창설 이후 여러 개편을 거쳐 2024년 지역 배치 사단으로 재편되었다. - 육상자위대의 보병사단 - 제1사단 (육상자위대)
육상자위대 동부방면대 소속인 제1사단은 1950년 경찰예비대 제1관구로 창설되어 1962년 재편성되었으며, 도쿄도 네리마구에 사령부를 두고 수도권을 포함한 7개 현의 방위 경비와 재해 파견을 담당한다. - 1962년 설립 - 후쿠시마 TV
후쿠시마 TV는 후쿠시마현 최초의 민영 텔레비전 방송국으로 개국하여 여러 네트워크와의 제휴 및 탈퇴를 거쳐 현재는 FNN/FNS 계열의 완전 독점 방송국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후쿠시마현이 주식의 절반을 소유하여 공공적인 성격을 띠는 것이 특징이다. - 1962년 설립 - 정수장학회
정수장학회는 김지태가 설립한 부일장학회를 모태로 5.16 군사정변 이후 경제적 어려움에 처한 인재를 지원하기 위해 설립된 단체로, 문화방송(MBC)과 부산일보 지분을 보유하고 박정희 친인척 및 측근이 운영하며 설립 과정과 소유권 문제 등으로 논란이 되어왔고 과거사위원회는 재산이 강압에 의해 헌납되었다고 결론내렸다.
제6사단 (육상자위대)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소속 | 육상자위대 |
종류 | 보병 사단 |
규모 | 7,000명 |
상위 부대 | 북부 방면대 |
주둔지 | 야마가타현 히가시네시 |
상세 정보 | |
창설일 | 1962년 8월 15일 |
소속 국가 | 일본 |
현재 사령관 | 가와사키 아키라 (Akira Kawasaki) 중장 |
편성 | |
담당 지역 | 미나미 도호쿠 |
위치 | |
주둔지 | 야마가타현 히가시네시 진마치 주둔지 |
2. 역사
1962년 경찰예비대가 육상자위대로 재편됨에 따라 제6관구에서 제6사단으로 개편되었다. 1970년 제44보통과연대(5개 중대)가 편성되어 예하 부대가 되었다. 1989년 제6후방지원연대가 창설되었다. 1999년 제21보통과연대와 제9사단의 제38보통과연대를 교환하여 제6사단의 관할 지역에 아키타현이 추가되었다.
2002년 사단 화학대가 제6화학방호대로 개편되었다. 2004년 제27보통과연대가 동북 방면 혼성단으로 이동하면서, 제6사단은 즉응 근대화 사단이 되었다. 2010년 제6화학 방호대가 제6특수무기방호대로 개편되었다.
2. 1. 창설 배경
1954년 8월 10일, 네리마 주둔지에서 제6관구 총감부 및 동 부대 중대가 편성을 완료하였다.[2][3] 8월 23일, 총감부 및 동 부대 중대가 네리마 주둔지에서 후쿠시마 주둔지로 이동하였다.[3][4]9월 10일, 제6관구 총감이 예하 부대에 대한 지휘권을 행사하기 시작했다. 제2보통과 연대, 제5보통과 연대, 제32독립 특과 대대, 제2육조 교육대 등이 예하에 편입되었으며, 담당 경비 구역은 아오모리현, 이와테현, 미야기현, 아키타현, 야마가타현, 후쿠시마현, 니가타현이었다.[5]
이후 제6관구대는 다음과 같이 여러 부대의 편성을 완료하였다.
- 9월 25일: 제6특과 연대 (고리야마 주둔지), 제6특차 대대 (소마바라 주둔지), 제6위생 대대, 제6시설 대대
- 10월 15일: 제6정찰 중대 (신마치 주둔지), 제6보급대, 제6무기대, 제6통신대, 제6항공대
12월 1일, 총감부 및 동 부대 중대가 다가조 주둔지로 이동하였다.[3][4] 1955년 3월 19일에는 제6관구 총감부, 다가조 주둔 부대의 개청식이 열렸다.[4]
1956년 1월 25일, 제20보통과 연대가 아오모리 주둔지에서 편성을 완료하였다. 3월 31일에는 제6특차 대대 (소마바라 주둔지), 제6정찰 중대 (신마치 주둔지)가 소마바라 주둔지에서 야마토 주둔지로 이동하였다. 8월 7일에는 제6관구대가 묘코산계에서 육상자위대 최초의 산지 연구 연수를 실시했다.[4] (9일까지) 11월 12일에는 제1관구대, 제6관구대에 의한 육상자위대 최초의 대항 지휘소 연수 (토치기현나스노 일대)가 실시되어, 인원 5,000명, 차량 900대가 참가하였다.[4] (18일까지) 11월 15일에는 제20보통과 연대가 아오모리 주둔지에서 칸마치 주둔지로 이동하였다.
1957년 2월 21일, 제9혼성단의 신편에 따라 아오모리현 및 이와테현의 경비 담당을 제9혼성단장으로 이관하고,[6] 제5보통과 연대가 제9혼성단으로 편성 변경되었다. 같은 날, 제21보통과 연대가 아키타 주둔지에서 편성을 완료하였다.
1958년 3월 27일, 제2특과군이 후지 주둔지에서 미나미센다이 주둔지로 이동하여 예하에 편입되었다.[7] 6월 17일에는 제22보통과 연대가 센다이 주둔지에서 편성을 완료하였고, 6월 26일에는 니가타현의 경비 담당을 제1관구대로 이관하고,[8] 제2보통과 연대가 제1관구대로 편성 변경되었다.
1960년 1월 14일, 방면 관구제 시행에 따라 도호쿠 방면대가 창설되고, 도호쿠 방면 총감에 예속되었다. 제2특과군은 도호쿠 방면 총감 직할에 예속 변경되었다. 1960년경의 주요 편성은 제20·제21·제22보통과 연대, 제6특과 연대, 제6특차 대대였다.
1961년 8월 5일, 제22보통과 연대가 센다이 주둔지에서 다가조 주둔지로 이동하였고,[4] 8월 10일에는 총감부 및 동 부대 중대가 다가조 주둔지에서 칸마치 주둔지로 이동하였다.[3]
1962년 1월 18일, 제6특차 대대가 제6전차 대대로 명칭 변경되었고, 제6항공대가 도호쿠 방면 항공대 예하에 예속 변경되었다.
제6경비지구는 다음과 같이 변경되었다.
연도 | 관할 지역 |
---|---|
1954년 | 아오모리현, 이와테현, 미야기현, 아키타현, 야마가타현, 후쿠시마현, 니가타현 |
1957년 2월 21일 | 야마가타현, 아키타현, 미야기현, 후쿠시마현, 니가타현 |
1958년 6월 26일 | 야마가타현, 아키타현, 미야기현, 후쿠시마현 |
1999년 3월 29일 | 야마가타현, 미야기현, 후쿠시마현 |
2. 2. 연혁
- 1962년 8월 15일, 경찰예비대가 육상자위대로 재편됨에 따라 제6관구대를 모체로 제6사단이 창설되었다. 제6관구총감부는 제6사단 사령부로, 제6정찰 중대는 제6정찰대로, 제6통신대는 제6통신대대로, 제6위생대대는 제6위생대로 각각 명칭이 변경되었다. 제6대전차대, 제6수송대가 신편되었다.[2][3]
- 1970년 3월 10일, 제44보통과연대(5개 중대)가 후쿠시마 주둔지에서 편성되어 제6사단에 예속되었다.[9]
- 1990년 3월 26일, 사단 근대화 개편으로 제20, 21, 22, 44보통과 연대가 자동차화 연대로 개편되었다. 제6후방지원연대가 칸마치 주둔지에 신편되었다.
- 1999년 3월 29일, 아키타현이 제9사단 관할로 변경되면서 제21보통과연대가 제9사단으로 이관되고, 제9사단 소속 제38보통과연대가 하치노헤 주둔지에서 다가조 주둔지로 이주하여 제6사단으로 편입되었다.[10]
- 2006년 3월 27일, 즉응 근대화 사단으로 개편되어 3개 보통과연대 체제가 되었다. 제20, 22, 44보통과 연대에 경장갑기동차, 01식 경대전차 유도탄이 배치되었다.[11]
- 2019년 3월 26일, 기동사단으로 개편되면서 제22보통과연대(다가조 주둔지)가 제22즉응기동연대로 개편되었다.[13]
- 2020년 3월 26일, 제6특과연대 (고리야마 주둔지)가 폐지되고,[15] 제6정보대가 칸마치 주둔지에 신설되었다.[16]
2. 3. 주요 사건
제6사단은 창설 이후 여러 재해 파견 및 국제 지원 활동에 참여하였다. 주요 사건은 다음과 같다.연도 | 사건 내용 |
---|---|
1967년 | 우에쓰 폭우 재해 파견 |
1986년 | 후쿠시마현 남부 수해 재해 파견 |
2004년 | 이라크 부흥 지원군 파견 (약 500명) |
2008년 | 이와테·미야기 내륙 지진 재해 파견 |
2011년 | 동일본 대지진 재해 파견 |
3. 편제
제6사단은 1개 즉응기동연대 및 2개 보통과연대를 기간으로 하는 기동사단이며, 사단장은 육장으로 보임된다. 도호쿠 지방 3현(미야기, 야마가타, 후쿠시마)의 방위 경비, 재해 파견을 임무로 하며, 민생 협력 및 국제 공헌 활동을 수행하고 있다.
제6사단의 과거 편제 변경 내역은 다음과 같다.3. 1. 현재 편제
부대 | 주둔지 |
---|---|
제6사단 사령부 | 진마치 주둔지 |
제20보통과연대 | 진마치 주둔지 |
제22즉응기동연대 | 다가조 주둔지 |
제44보통과연대 | 후쿠시마 주둔지 |
제6고사특과대대 | 고리야마 주둔지 |
제6후방지원연대 | 진마치 주둔지 |
제6시설대대 | 진마치 주둔지 |
제6통신대대 | 진마치 주둔지 |
제6정찰대 | 다이와 주둔지 |
제6정보대 | 진마치 주둔지 |
제6비행대 | 진마치 주둔지 |
제6특수무기방호대 | 진마치 주둔지 |
제6음악대 | 진마치 주둔지 |
3. 2. 과거 편제
- 1990년 3월 25일: 제6무기대, 제6보급대, 제6수송대, 제6위생대가 폐지되고 제6후방지원연대로 개편되었다.
- 1999년 3월 28일
- 제21보통과 연대가 제9사단으로 이관되었다.
- 제6사단 사령부 부대 화학방호소대가 폐지되고 제6사령부 부대 화학방호대로 개편되었다.
- 제6대전차대가 폐지되었다.
- 2002년 3월 26일: 제6사단 사령부 부대 화학방호대가 폐지되고, 제6화학 방호대로 개편되었다.
- 2006년 3월 27일: 제38보통과 연대가 동북방면혼성단 예하로 이관되었다.
- 2010년 3월 25일: 제6화학방호대가 폐지되고, 제6특수무기방호대로 개편되었다.
- 2019년 3월 25일
- 제22보통과연대가 폐지되고, 제22즉응기동연대로 개편되었다.
- 제6전차대대가 폐지되었다.
- 2020년 3월 26일: 제6특과연대가 폐지되었다.[15]
4. 지휘부
2023년 기준 제6사단의 지휘부는 다음과 같다.
관직명 | 계급 | 성명 | 보직 발령일 | 전직 |
---|---|---|---|---|
제6사단장 | 육장 | 구스미 신이치 | 2023년 3월 30일 | 서부 방면 총감부 막료장 겸 겐군 주둔지 사령 |
부사단장 겸 가미마치 주둔지 사령 | 육장보 | 야마모토 마사시 | 2023년 3월 30일 | 서부 방면 총감부 방위부장 |
막료장 | 1등 육좌 | 가이 마사시 | 2023년 8월 29일 | 육상총대 사령부 운용부 부부장 |
화력 조정 부장 | 1등 육좌 | 이시자키 미오 | 2023년 3월 13일 | 제5특과대장 |
4. 1. 역대 사단장
(특기 사항이 없는 한 육장·지정직2호)쇼와 2년 졸업
→1954년 7월 1일 제1관구 총감부 부속
→1959년 7월 31일 퇴직
육대 47기
겸 후지 주둔지 사령
쇼와 11년 졸업
쇼와 10년 졸업
쇼와 10년 졸업
※1965년 7월 1일 육장 승진
육대 52기
(육장보)
쇼와 13년 졸업
겸 마에가와하라 주둔지 사령
육대 57기
육대 60기
겸 시마마츠 주둔지 사령
→1975년 6월 1일 육상막료감부 부속
겸 후지 주둔지 사령
겸 이치가야 주둔지 사령
겸 후지 주둔지 사령
겸 기사라즈 주둔지 사령
쇼와 29년 졸업
쇼와 31년 졸업
겸 아케노 주둔지 사령
겸 이타미 주둔지 사령
겸 삿포로 주둔지 사령
겸 후지 주둔지 사령
겸 센다이 주둔지 사령
겸 메구로 주둔지 사령
겸 메구로 주둔지 사령
겸 아사카 주둔지 사령
겸 주조 주둔지 사령
겸 아사카 주둔지 사령
겸 아사카 주둔지 사령
방대 21기
겸 겐군 주둔지 사령
겸 주조 주둔지 사령
겸 겐군 주둔지 사령
겸 이타미 주둔지 사령
겸 메구로 주둔지 사령
겸 메다루바루 주둔지 사령
겸 이타미 주둔지 사령
겸 후지 주둔지 사령
겸 아사카 주둔지 사령
겸 겐군 주둔지 사령